본문 바로가기

취업3

배달의민족 CEO에게 뽑고 싶은 개발자를 물어보았다 개발자를 단순히 코딩하는 사람으로 정의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면 문제 해결 방법은 따라오게 된다. 문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인지한 다음 문제풀이에 진입하기 위해서 매일매일 코딩일지를 쓰고 있는데 올바른 방향인 것 같다 그리고 코딩을 단순히 많이 하는 건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당신이 만들어낸 business value가 무엇인지? https://youtube.com/watch?v=3H4umWD5bwI&si=mZElbghNPzpoosgL 2023. 10. 23.
이력서 40번 넣고 35번 탈락한 개발자의 사연 난잡한 이력서? 안 쓰느니만 못한 이력서. 한 게 많아 보이는 것보다 내가 제일 잘 하는 것을 집중적으로 강조하는 게 낫다. 면접관은 이력서를 감명 깊게 읽지 않는다. 이 경험을 통해서 무엇을 배웠고, 어느 수준에서 어느 수준에서 성장했는지 강조 어떤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는지 이력, 기술 중심으로 깔끔하게 정리 지식을 어떻게 쌓았는지 알려주자: 블로그나 깃헙 링크 읽는 사람 중심 정보 제공 임팩트 없는 긴 정보? 뭐가 중요한지를 모른다는 뜻 질문받고 싶은 부분을 블로그에서 강조하기 결국 잡소리하지 말고 내 기술, 이력 중심으로 깔끔하고 임팩트 있게 짧은 경력, 잦은 이직 -> 개발자 취업에 불리? 1. 우리 회사에서도 짧게 있으면 어떡하지? 2. 한 프로젝트를 충분히 오랫동안 유지해보지는 않았네?.. 2023. 10. 20.
IT 취업활동하면서 20대 인생 꼬이는 방법(스칼라의 IT직업충전소) 취업준비 시 무조건 1순위는 "기술 능력" 결국 기업이 궁금해하고 원하는 건 "아 됐고 당신 이 일 맡겨놓으면 해낼 수 있어?" 이 실질적인 능력 없이 취준활동을 한다는 건 무임승차를 할 수 있는, 다시 말해 나한테 속아줄 기업을 찾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능력이란 무엇일까? 일을 맡겨놓았을 때 해낼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취업을 할 때 가장 기초적으로 준비해야 될 건 기술적인 능력과 자격증 -> 투트랙으로 취업은 항상 투트랙이다. 1. 기술능력 2. 자격증 3. 회사별 입사조건(코테, NCS) 여기서 중요한 건 회사별 입사조건은 턱걸이도 괜찮다. 토익 기준치만 겨우 넘기고 학교는 지방대고 그랬는데 삼성을 간 사례가 있다. 본인 스스로도 왜 합격했는지 몰?루..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