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느낌표34

URL을 누르면 해킹이 된다고? URL은 웹 상의 자원을 식별 + 위치 안내의 기능을 한다.예를 들어 네이버 URL을 브라우저에 검색하면 이 URL을 통해서 네이버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코드, 이미지, 동영상 등등의 자원을 불러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자원을 가져오는 것에 불과한데 해킹이 된다고? 대부분의 경우 클라 + 서버 아키텍쳐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 가짜 네이버 로그인 사이트여서 클라이언트단에서 친절하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손수 적어 서버로 전송하지 않는 이상 URL을 누르는 것만으로 해킹이 된다는 건 말도 안 되지 않나?충분히 그럴 수 있다. 왜냐하면 URL이 가리키는 자원 자체가 악성일 수 있기 때문이다. URL이 가리키는 자원이 악성 코드를 담은 스크립트이거나 브라우저 취약점을 노리는 바이러스.. 2025. 7. 9.
[F-lab] android 멘토링 1개월차 후기 F-lab이란?간략히 소개하자면 "질문형 개발자 과외"라고 볼 수 있겠다. 보통의 과외는 탑다운 방식으로 과외선생님이 갖고 있는 지식을 흡수하는 데 중점을 두지만 이곳에서는 멘토님의 질문을 통해 나의 무지를 깨닫고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방식을 배우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F-lab을 신청한 이유2년간의 42seoul 과정을 마치고 나서 취업시장에 처음 나올 때는 금방 취업이 될 줄 알았다. 하지만 막상 나와보니 취업은 공부와는 또 다른 게임이었다는 걸 크게 체감했다. 42seoul을 하면서 정말 많은 것들을 배웠지만 이것들을 어떻게 잘 다듬어서 정리해 어필하고 면접에서 풀어나가는지에 대해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걸 느껴 F-lab을 신청했다.또다른 이유로는 자기주도적 학습 그 너머의 세.. 2025. 7. 7.
네이버웹툰은 왜 탈퇴한 회원의 댓글에 추가 공감/비공감을 막았을까? 탈퇴한 회원까지 굳이 관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 같다.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감/비공감이 눌린다면 어찌되었든 그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해야 하고 DB에 저장해야 하니 말이다.만약 RDB라면 여기에 대한 인덱스는 생성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공감/비공감은 cardinality가 겨우 2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실익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RDB라고 본 이유는 RDB는 transaction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네이버 같은 대기업은 특히나 문제 발생에 대해 예민할 테고 비록 DB 스키마의 복잡성을 감안해서라도(그만한 자금은 충분할 테니) 안정성을 더 중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하지만 RDB만 쓰지는 않을 테고 일부 부분에서는 NosQL을 쓸 것 같은데 흠 이 부분은 잘 모르겠다. 2025. 7. 6.
[42seoul]스터디를 하면서 느낀점 스터디를 하기 전, 친구들과 공부를 하다 보면 꼭 발생하는 현상이 있었다. 내가 누군가에게 질문을 하면 그 누군가는 의문에 빠진다. 그래서 또 다른 누군가를 불러오면 다시 그 누군가도 또 의문에 빠진다. 이런 알고리즘으로 같이 공부하던 사람들이 모두 모이게 되면 내 코드를 갖고 치열한 토론회가 열린다. 그런데 이 코드를 제일 잘 아는 사람은 나니까 결국엔 나에게로 모든 질문이 도착하는데 사람들이 하도 많이 모여있다 보니 나도 헷갈려서 결국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코드가 되어버리고 그 코드는 완전히 버린 다음 나는 다시 시작했다. 이런 점에 대해서는 사실 별 생각이 없었다. 그냥 내가 저 친구들보다 훨씬 실력이 못 미치니까 자꾸 이런 짜파게티 코드가 탄생하는구나 하는 생각이었고 막연히 열심히 하면 나아.. 2024. 1. 16.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카페알바를 하고 나면 오른쪽 무릎에 알수없는 불편감이 들어 너무 불편했다. 마감알바라서 알바를 마치고 바로 집에 가서 자려고 하면 무릎이 너무 불편해서 잠을 설치기 일쑤였다. 일주일에 두 번 알바를 하는데 일주일에 2번은 무조건 제시간에 잠을 잘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한번 원인이 뭔지 곰곰이 생각해봤다. 내가 오른쪽으로 골반이 틀어져 있어 오른쪽 다리에 과도하게 부하가 실리는 게 문제라고 생각하고 골반교정을 올해 또하나의 목표로 잡았다. 그런데 불현듯 생각해보니 이 불편감은 항상 오른쪽 무릎이 과신전 그러니까 지나치게 펴지는 느낌이 들 때 발생했다. 자세요정 유튜브를 찾아보니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퇴근막장근 마사지를 제시하고 있었고 대퇴근막장근 마사지를 한 1분 정도 하고 나니.. 2024. 1. 11.
개발자 면접 지금 가입되어 있는 슬랙 커뮤니티에서 면접 때는 주로 개념을 물어본다는 메시지를 본적이 있다. 오늘 부트캠프 광고를 봤는데 면접 때는 개념을 주요하게 물어본댄다. 이해한 개념을 설명하기? 내가 제일 잘하는 것이다. 1년간 빡세게 공부해서 내가 제일 잘하는 게 100% 발휘될 수 있게 도와주자 2023. 12. 26.
노션으로 습관 관리해보기 문득 노션으로 습관을 관리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좋은 습관과 나쁜 습관 리스트를 쭉 적어보았다. 나쁜 습관 하나하나가 굉장히 크리티컬한 것들이였지만 좋은 습관이 생각보다 많이 생겨서 조금은 뿌듯했다. 습관을 대신 관리해줄 비서가 하나 새로 들어와서 기분이 좋았다. 나쁜 습관들은 느릴지언정 확실하게 잘근잘근 밟아 씨를 말리자. 2023. 12. 26.
현재를 사는 건 왜 어려울까? 1초 전은? 과거다. 1초 후는? 미래다. 0.5초 전은? 과거다. 0.5초 후는? 미래다. 0.05초 전은? 역시 과거다. 0.05초 후는? 역시 미래다. 현재는 상상조차 못할 정도로 짧은 찰나의 순간이기에 그 순간을 항상 인식하면서 산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일 것 같다. 2023. 12. 25.
부정적 피드백 다루기 일을 하다 보면 부정적 피드백을 받는 일, 좀더 쉽게 말해 욕먹는 일은 필연적이다. 특히나 사회 초년생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인간으로 태어나 일을 한다면 마주치게 될 수밖에 없는 숙명과도 같은 이 상황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지혜롭게 헤쳐나갈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1. 스스로를 갉아먹지 않기 사회초년생으로 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 나는 특히나 욕을 먹는 일이 잦았던 것 같다. 왜 그렇게 많은 욕을 먹었나 생각해보니 한소리를 들었을 때 자책을 지나치게 함으로써 안 그래도 없는 업무능력을 스스로 더욱 끌어내렸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자책은 내 행동을 수정하고 고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과정이지만, 도가 지나치면 스스로를 악순환의 굴레에 가둬버린다. 스스로를 비난하고 또 비난하다가 결국 한 발짝도.. 2023. 12. 24.
코딩 인강 들을 때 아.. 이제까지 너무 멍청햇다.. 깃허브를 쓸 생각을 왜 못했을까 지금까지는 코드 따라 치다가 중요해보이는 거 있으면 옵시디언으로 넘어가서 잠깐 적고 다시 넘어오고 이런 식이였는데 문제가 이러니까 제대로 관리가 안 된다. 이걸 언제 배운 건지도 모르겠고 단순히 그렇다 카더라 수준으로 적은 것들이 많아서 실질적인 코드 예시를 보려면 다시 또 깃허브로 넘어와서 일일이 찾아야 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그냥 주석을 달고 커밋하면 되잖아? 그리고 니꼬쌤이 하는 거 보니까 이제까지 힘들게 같이 친 코드를 삭제하는 일이 많았다. 실제 틱톡 클론코딩할 때는 쓰이지 않는 코드들을 단순히 이런 기능도 있다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 그런 식으로 수업을 하던데 왜 멍청하게 바라만 보고 있었을까 삭제하기 전에 간단하게 커밋 한.. 2023.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