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9

[Error] multidex support is required for your android app to build since the number of methods has exceeded 64k. 터미널에 flutter run --debug 치니까 알아서 고쳐졌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5648290/multidex-is-not-supporting-in-flutter Multidex is not supporting in flutter Note: C:\temp\flutter\.pub-cache\hosted\pub.dartlang.org\device_info-2.0.3\android\src\main\java\io\flutter\plugins\deviceinfo\DeviceInfoPlugin.java uses unchecked or unsafe operations. Note: Recom... stackoverflow.com 2023. 9. 27.
flutter 클래스 제대로 활용하기 9월 초부터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플러터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하다 보니, 자주 등장하는데 도무지 정확한 뜻이 제대로 잡히지 않는 개념들이 있어서 정리하고자 한다.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위키백과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단순한 명령어 목록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대신,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써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다. 객체는 변수와 함수가 모여있는 일종의 코드 뭉치라고 할 수 있다. 2. 클래스 객체를 만들기 위한 사용설명서 or 설계도 사용설명서에는 보통, 구성품이 무엇이고, 어떻게 조립해야 하며, 완성되면 어떻게 작동하는지 같은 내용이 적혀있다. class Human { // Instance variables String .. 2023. 9. 26.
헷갈리는 행.열.종.횡 https://melburn119.tistory.com/305 자주 헷갈리는 [행.열.종.횡] 개념과 [row, col] 제대로 익혀보자! by 부산백수 엑셀 공부할 때마다 자주 헷갈렸던 행렬종횡!엑셀에서 값을 입력할때, 자격증 시험공부 할때, JAVA, C등 프로그래밍에 대해 공부하면서 자주 헷갈렸던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종횡의 개념입니다. 학 melburn119.tistory.com 2023. 9. 20.
target of URI doesn't exist 스택 오버플로우 찾아보니까 flutter packages get flutter packages upgrade restart VScode/Android studio 순서대로 이렇게 하라고 하던데 그래도 안 돼서 이 블로그 보고 해결했다. https://nayotutorial.tistory.com/48 [Flutter] 12. 플러터 패키지(package) 추가하기 플러터에서 http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http 패키지를 프로젝트에 추가해야 합니다. 외부 패키지를 프로젝트에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다음 내용을 다루고 nayotutorial.tistory.com 2023. 9. 18.
표정 다른 사람들이 나를 보았을 때 가장 먼저 보는 게 뭘까? 얼굴이다.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얼굴에서 드러나는 표정을 본다. 그래서 항상 웃는 얼굴을 하는 게 좋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을 수 있다. 최근 같이 일하게 된 사람이 두 명 있는데 한 사람은 기본적으로 웃는 얼굴이고 다른 한 사람은 항상 뭔가 좀 안 좋아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는 몰라도 자꾸 웃는 얼굴을 하는 사람을 좀더 친근하게 대하고 그 사람과 이야기를 하려는 경향성이 나에게서 보인다. 웃는 얼굴이 중요하다 중요하다 말로만 들었지, 실제로 내 감정과 행동의 변화를 관찰해보니 마음 깊이 이 말에 공감하게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웃는 표정을 지을 수 있을까? 생활하는 내내 항상 입꼬리에 신경을 쓰고 있어야 할까? 웃음이 나올 수밖에 없는 .. 2023. 9. 12.
다트 클래스 사용법 기초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중 하나인 클래스를 사용하는 코드의 예시는 아래와 같으며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1. Import문 class MyWidget extends StatelessWidget { //2. MyWidget 클래스 정의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3. build 매서드 정의 return Container( color: Colors.blue, child: Center( child: Text( 'Hello, Flutter!', style: TextStyle(fontSize: 24, color: Colors.white), ), ), ); } } .. 2023. 9. 6.
시작 오늘 너무 피곤해서 스타벅스 갈까말까 고민했는데 결국 왔다. 와보니 졸음이 어느정도 사라졌고 도서관에서 그렇게 하기 싫어했던 백준도 아주 재밌게 끝냈다. 시작하기 전에는 아무것도 모른다. 해봐야 안다. 2023. 9. 3.
다트 기초(C언어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 글은 제가 유일하게 아는 언어인 C언어와 구별되는 Dart의 특징적 개념만을 정리하였으므로 프로그래밍 자체가 처음이신 분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dynamic type vs var type 둘 다 데이터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고, 컴파일러가 할당된 값의 데이터 타입을 기반으로 타입을 추론하도록 한다. 이로써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var type으로 선언된 변수는 한 번 초기화했을 당시의 자료형만 계속 쓸 수 있다. var name = 12; // 위와 같이 integer로 초기화되어 있다면 // name이라는 변수에는 string이나 bool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다. name = 43; [O] name = 'string'; [X] na.. 2023. 9. 3.
설계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 때 MVP(Minimum Value Product)라는 개념이 있다. 한국말로는 최소 기능 제품이라는 뜻으로 많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다. 내가 설계를 할 때 모습을 보니 최소기능제품을 만들기보다는 완벽에 집착한다. 왜 완벽에 집착할까? 결국 실패해서 갈아엎는 게 스트레스받고 귀찮은 일이라고 생각해서다. 또한, 프로그램 설계라는 게 워낙 추상적인 영역이다 보니 완벽을 가늠하기 어려운 탓도 있을 것이다. 마치 지금 내가 투썸 케익관리 시스템을 만들 때 최소기능제품을 만들자고 강조하는 것처럼 평소의 내 설계에서도 최소기능제품을 만든다고 생각하자. 최소기능제품을 만들다 보면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냉전시대 잠수함 함장들의 필수템이 주사위였던 것처럼 나에게는 우연적 요소가 필요하다. 2023. 8. 14.
상상과 현실 지금 현재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과 내 상상 속에서만 일어나고 있는 일만 잘 구분해도 좀 더 편하게 인생을 살 수 있다. 걱정은 상상에서 비롯된다. 2023.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