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0 상상과 현실 지금 현재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과 내 상상 속에서만 일어나고 있는 일만 잘 구분해도 좀 더 편하게 인생을 살 수 있다. 걱정은 상상에서 비롯된다. 2023. 8. 11. 원하는 것을 상대에게 얻는 법 - 데일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을 중심으로 제 1원칙: 내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은 바로 '나' 인간은 누구나 존경받는 것을 좋아한다. 훈계를 받거나 야단을 받거나 자존심을 짓밟힌다면 그 사람은 진심으로 마음을 바꿀까 아니면 앙심을 품을까 제 2원칙 : 비판은 당신을 죽이고 칭찬은 당신을 살린다 그렇다면 타인이 잘못된 행동을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지? 그냥 참고만 있어야 하나? 제3원칙 : 물건을 팔지 말고, 사게 만들어라 살은 빼는 게 아니라 빠지는 것이다. 해야 하는 일을 하게 만드는 방법은 그 일을 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원하는 것을 주어야 한다. 송아지를 축사로 어떻게 집어넣을 수 있을까? 머리를 잡고 끌어당기지 말고 꼬리를 잡아당겨라. 아니면 엄지손가락을 입에 넣어 쪽쪽 빨도록 정신팔리게 하자. .. 2023. 8. 11. 해야 될 것과 하지 말아야 될 것 요즘은 뭔가를 얻는 방법은 그게 무엇이 됐든 간단하다고 느껴진다. 건강을 원한다면 술담배 안하고 잘 먹고 잘 자고 스트레스 안 받고 살면 되고 공부를 잘하고 싶으면 하루에 실질적으로 집중하는 시간을 최대한 늘리면 된다. 사실 누가 듣더라도 코웃음칠 당연한 이야기들이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사람들이 실제로 하던가? 술담배 하지 말라고 그렇게 떠들어도 결국 하는 사람들이 천지에 널려있다. 공부를 잘하고 싶지만 정작 오늘 하루는 스마트폰으로 시간 때우는 사람들도 널려있다. 해야 될 건 안 하고 안 해도 될 것들은 열심히 한다. 그래서 안 된다. 최근 나의 불면증을 생각해보자. 입에 붙이는 수면테이프를 통해서 입면에 일단 성공했을 시 질은 비약적으로 올라갔지만, 여전히 잠에 빠져드는 게 너무 어렵다. 최소 새벽.. 2023. 8. 2. 운영체제 기본 3 - CPU는 어떻게 컴퓨터를 제어하는가 지난번 시리즈에서 컴퓨터의 하드웨어는 크게 CPU, RAM, 보조 메모리, 입출력 장치 이렇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중 컴퓨터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부품은 CPU인데 이 장치가 사실상 컴퓨터를 제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CPU는 어떻게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일까? 바로 인터럽트라는 시스템을 통해 제어하는데 오늘은 이 인터럽트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인터럽트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아래의 2가지 이유로 인해 CPU에 알림을 보내는 행위 1) CPU가 이전에 시킨 작업이 끝났음 -> 그러니까 뭘 해야 될지 나에게 지금 당장 알려줘 2)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할 중요한 연산 작업이 있음 -> 그러니까 이걸 지금 당장 처리해줘 참고로, 하드웨어가 일으키는 인터럽트는 그냥 인터럽트.. 2023. 7. 8. 복습은 이해가 아니라 회상 https://brandon-insight.com/%ec%99%b8%ea%b5%ad%ec%96%b4-%ea%b3%b5%eb%b6%80-%eb%b0%a9%eb%b2%95/ 5개국어 구사자가 알려주는 외국어 공부 방법-복습량보다 복습 방법이 중요하다. - 브랜던 인사 외국어 공부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복습이다. 문제는 무턱대고 복습을 하는 것이 아닌 복습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는 것이다. 이 글은 복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두뇌의 작용에 대해 brandon-insight.com 2023. 7. 5. 재무관리 대학교 때까지만 해도 비싸면 무조건 좋은 줄 알았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더라. 몇년전에 100만원짜리 뱅앤올룹슨 헤드폰을 구매한 적이 있다. 그때는 무조건 좋은 줄 알고 구매를 했었는데 내가 안경을 쓰다 보니 귀 뒷부분이 너무 아파서 결국엔 잘 쓰지 않게 됐다. 예쁜 쓰레기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퇴사를 하고 프로그래밍 공부를 시작하면서 금전적인 압박이 생겼는데 뭔가를 살 때 예전보다 이것저것 생각하면서 사다 보니 나름대로의 기준이 생겼다. 1. 내 손이 갈 물건인가 아니면 손이 가지 않을 물건인가 아무리 비싼 물건이라도 내가 그 물건의 용도대로 자주 사용한다면 잘 산 것이고 아무리 싼 물건이라도 잘 안 쓴다면 그건 결국 쓰레기를 산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손이 갈지 말지를 결정하는 기준은.. 2023. 7. 4. 가변 인자에 대하여 가변인자란 인자의 갯수가 정해지지 않은 인자를 의미한다. 가변 인자를 갖는 함수 프로토타입을 선언할 때는 최소 1개 이상의 고정 인수가 있어야 하고, 가변 인자를 나타내는 '...'은 파라미터 순서상 맨 마지막에 위치해야 한다. int sum(int count, ...) { int res = 0; va_list ap; int i; va_start(ap, count); for(i=0; i 이 부분은 ap 안의 주소값을 t만큼 증가시켜서 ap가 다음 가변인자를 가리키도록 하는 게 목적 ap += _INTSIZEOF(t) - _INTSIZEOF(t) -> 이 부분은 현재 ap가 가리키는 가변 인자를 리턴하는 게 목적 4. va_end #define va_end(ap) ( ap = (va_list)0 ) 위와 .. 2023. 7. 4. 익절을 위해 손절을 잘하자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좋아했던 글쓰기를 다시 하며 드는 생각인데 코딩이든 글쓰기든 더 잘하기 위해서 공통점이 느껴지는 것 같다. 그건 바로 손절을 잘해야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점이다. 특별한 이야기는 아니다. 그냥 잘 안된다 싶으면 전부 다 뒤집어 엎어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42과제를 진행하면서 내가 짠 로직이 너무 마음에 드는데 꼭 엣지케이스를 커버하지 못해서 안타까운 적이 많았다. 그럴 때 이 로직 짜는 데 들인 시간이 아깝고 노력이 아까워서 어떻게든 살려보려고 애썼는데 결국에는 전부 뒤집어엎었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뭔가 흐름이 이상하거나 표현이 이상할 땐 이걸 계속 수정하는 것보단 새로운 문장을 생각해내는 게 훨씬 더 나았다. 글쓰기야 뭐 워낙 오래전부터 해왔던 일이니 무의식적으로 손절을 잘 하는.. 2023. 7. 3. IT 취업활동하면서 20대 인생 꼬이는 방법(스칼라의 IT직업충전소) 취업준비 시 무조건 1순위는 "기술 능력" 결국 기업이 궁금해하고 원하는 건 "아 됐고 당신 이 일 맡겨놓으면 해낼 수 있어?" 이 실질적인 능력 없이 취준활동을 한다는 건 무임승차를 할 수 있는, 다시 말해 나한테 속아줄 기업을 찾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능력이란 무엇일까? 일을 맡겨놓았을 때 해낼 수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기술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하다. 취업을 할 때 가장 기초적으로 준비해야 될 건 기술적인 능력과 자격증 -> 투트랙으로 취업은 항상 투트랙이다. 1. 기술능력 2. 자격증 3. 회사별 입사조건(코테, NCS) 여기서 중요한 건 회사별 입사조건은 턱걸이도 괜찮다. 토익 기준치만 겨우 넘기고 학교는 지방대고 그랬는데 삼성을 간 사례가 있다. 본인 스스로도 왜 합격했는지 몰?루.. 2023. 7. 3. 가상화 -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쓰는 방법 1. 가상화란?하나의 실물 컴퓨팅 자원을 마치 여러 개인 것처럼 가상으로 쪼개 사용하거나,여러 개의 실물 컴퓨팅 자원들을 묶어서 하나의 자원인 것처럼 사용하겠단 의미 하나의 실물 컴퓨팅 자원을 여러 개로 나눠 사용하는 예→ 각종 클라우드 서비스여러 개의 실물 컴퓨팅 자원을 하나의 자원인 것처럼 사용하는 예→ 4기가짜리 프로그램을 깔려고 하는데 2기가짜리 하드가 2개 있네? 그러면 이걸 묶어서 사용 가상화는 기본적으로 실물 컴퓨팅 자원을 더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나온 개념이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OS, 하드디스크 등의 다양한 자원들을 가상화할 수 있고 개개의 가상화는 서로 독립적이다.네트워크만 가상화하고 OS는 가상화하지 않을 수도 있고, OS를 가상화하고 하드디스크를 가상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2023. 6. 29. 이전 1 ··· 8 9 10 11 12 다음